맨위로가기

존 슐레진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슐레진저는 1926년 햄프스테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영화 및 연극 감독이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육군에서 복무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부하며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 1950년대 배우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1960년대부터 연출에 집중하여 《어떤 종류의 사랑》, 《미드나잇 카우보이》, 《선데이 블러디 선데이》등의 작품을 연출했다. 슐레진저는 아카데미 감독상과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1970년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 그는 로열 내셔널 시어터의 부감독을 역임했으며, 여러 오페라를 연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아카데미 감독상 수상자 - 스탠리 큐브릭
    스탠리 큐브릭은 1928년 뉴욕에서 태어나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며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계태엽 오렌지》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연출하고 뛰어난 시각적 연출과 음악 사용으로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영국 아카데미 감독상 수상자 - 크리스토퍼 놀란
    크리스토퍼 놀란은 복잡한 플롯, 철학적 주제, 혁신적인 촬영 기법으로 유명하며 《메멘토》, 《다크 나이트》 3부작, 《인셉션》, 《인터스텔라》, 《덩케르크》, 《테넷》, 《오펜하이머》 등의 작품으로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은 영국과 미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이다.
  • 황금곰상 수상 감독 -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 배우로, 브레히트와 누벨바그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영화들을 저예산으로 빠르게 제작하며 《페트라 폰 칸트의 쓰디쓴 눈물》,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나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황금곰상 수상 감독 - 장뤽 고다르
    장 뤽 고다르는 프랑스 누벨바그 운동을 이끈 혁신적인 영화 감독으로, 정치적 메시지와 독창적인 편집 기법을 통해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잉글랜드 유대인 - 조슈아 에이브러햄 노턴
    조슈아 에이브러햄 노턴은 1859년 "미합중국 황제 노턴 1세"를 자칭하고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으며 21년간 "통치"한 샌프란시스코의 유명인이었다.
  • 잉글랜드 유대인 - 샘 멘데스
    샘 멘데스는 영화 《아메리칸 뷰티》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한 영국의 영화 감독이자 연극 연출가, 제작자로, 영화와 연극 양쪽에서 뛰어난 연출력을 인정받아 다양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존 슐레진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 이름존 리처드 슐레진저
출생일1926년 2월 16일
출생지잉글랜드 런던
사망일2003년 7월 25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
직업영화 감독, 배우
학력발리올 칼리지, 옥스퍼드
파트너마이클 칠더스
수상 내역
아카데미 감독상1969년 『미드나잇 카우보이
베를린 국제 영화제 금곰상1962년 『어떤 사랑』
베를린 국제 영화제 국제 카톨릭 영화 사무국 상1969년 『미드나잇 카우보이』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감독상1965년 『Darling』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감독상1969년 『미드나잇 카우보이』
1971년 『선데이 블러디 선데이』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단편 영화상1961년 『Terminus』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펠로우십 상1995년
골든 글로브상 외국어 영화상1965년 『Darling』
1971년 『선데이 블러디 선데이』
미국 영화 협회 미국 영화 베스트 1001998년 (제36위) 『미드나잇 카우보이』

2. 생애

런던 햄프스테드에서 태어나 유대인 가정에서 자랐다.[5][6] 제2차 세계 대전영국 육군에 입대하여 영국 공병대에서 복무하면서 영화를 제작하고 마술 공연으로 전우들을 즐겁게 했다.[14] 군 복무 후 옥스퍼드 대학교 발리올 칼리지에서 공부하며 단편 영화 제작과 연극 활동을 했다.[15]

졸업 후 BBC에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1960년 단편 다큐멘터리 ''Terminus''로 영국 아카데미상을 수상했고, 1962년 영화 ''어떤 종류의 애정''으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19] 1969년 ''미드나잇 카우보이''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했으며,[22] 이 작품은 아메리칸 뉴 시네마의 주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내셔널 시어터에서 무대 연출, 로열 오페라 하우스 등에서 오페라 연출도 맡았다. 2003년 뇌졸중으로 사망했으며, 파트너였던 사진가 마이클 차일더스가 임종을 지켰다.[30][2]

2. 1. 초기 생애 ( ~ 1950년대)

슐레진저는 런던 햄프스테드에서 태어나 자랐으며,[5] 유대인 가정 출신이다.[6] 5명의 자녀 중 장남으로,[7] 케임브리지 대학교 이매뉴얼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은 저명한 소아과 의사이자 내과 의사인 버나드 에드워드 슐레진저(1896–1984)의 아들이었다. 버나드 에드워드 슐레진저는 영국 육군 의무대에서 준장으로 복무하기도 했다.[8] 그의 어머니는 프랑크푸르트 출신의 주식 중개인인 헤르만 레겐스부르크의 딸 위니프레드 헨리에타였다.[9] 그녀는 14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트리니티 음악원에서 공부했으며, 나중에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3년간 언어학을 공부했다.[10][11] 버나드 슐레진저의 아버지 리처드는 주식 중개인으로, 1880년대에 프랑크푸르트에서 영국으로 건너왔다.[12]

세인트 에드먼드 학교, 힌드헤드와 어핑엄 학교(그의 아버지도 다녔다)를 졸업한 후,[13] 슐레진저는 제2차 세계 대전영국 육군에 입대했다. 그는 영국 공병대에서 복무하면서 전쟁 최전선에서 영화를 제작했다. 또한 마술을 공연하여 전우들을 즐겁게 했다.[14] 군 복무를 마친 후,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 발리올 칼리지에서 공부하면서 단편 영화를 계속 제작하고 연극에 출연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드라마 협회에서도 활동했다.[15]

2. 2. 경력 (1950년대 ~ 2000년대)

슐레진저는 1950년대부터 배우로 활동하기 시작하여 《분열된 마음》, 《오, 로잘린다!!》 등의 영국 영화와 《BBC 선데이 나이트 극장》, 《로빈 후드의 모험》, ''The Vise'' 등의 영국 TV 프로그램에서 조연을 맡았다. 1956년에는 런던 하이드 파크를 다룬 단편 다큐멘터리 《파크의 일요일》로 연출 경력을 시작했다. 1958년, BBC 《모니터》에서 마이클 크로포드가 출연한 어린이 오페라 《노예의 홍수》 리허설을 포함, 벤자민 브리튼과 앨데버러 페스티벌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16][17] 1959년에는 TV 시리즈 《4명의 정의로운 사람들》 23개 에피소드와 《데인저 맨》 4개 에피소드에서 외부/세컨드 유닛 감독을 맡았다.[18] 1956년 ''Death and the Other Monkey''에서는 "네덜란드 요리사"로 《스코틀랜드 야드 콜 마르치》에 출연했다.

1960년대 들어 연출에 집중하면서 배우 활동을 중단했다. 초기 연출작 영국 교통 영화 다큐멘터리 《터미너스》(1961)는 베네치아 영화제 황금사자상과 영국 아카데미상을 받았다. 첫 장편 영화 《어떤 종류의 사랑》(1962)과 《빌리 라이어》(1963)는 잉글랜드 북부를 배경으로 했다. 《어떤 종류의 사랑》은 1962년 제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곰상을 받았다.[19] 세 번째 장편 《달링》(1965)은 런던의 현대적 삶을 신랄하게 묘사, '스윙잉 런던'을 다룬 초기 영화 중 하나였다. 다음 영화는 토머스 하디 소설 각색 시대극 《광란의 군중으로부터 멀리》(1967)로, 잉글랜드 시골 풍경을 담았다. 두 영화(및 《빌리 라이어》)에는 줄리 크리스티가 출연했다.

미드나잇 카우보이》(1969)는 국제적 호평을 받았다. 뉴욕 뒷골목 사기꾼들의 이야기를 담은 이 영화는 미국 촬영 첫 작품으로, 아카데미 감독상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았다. 동성애 관계를 명시적으로 다룬 최초의 주류 미국 영화 중 하나로, 퀴어 영화의 획기적 작품으로 평가받는다.[20][21][22] 1970년대에는 《선데이 블러디 선데이》(1971), 《메뚜기의 날》(1975), 《마라톤 맨》(1976), 《양키스》(1979) 등 아웃사이더, 패배자, 주류 밖 사람들에 관한 영화를 만들었다. 이후 《혼키 통크 프리웨이》(1981)는 흥행과 비평 모두 실패했고, 이후 엇갈린 반응과 저조한 흥행 성적의 영화들이 이어졌다. 그러나 《더 팔콘 앤 더 스노우맨》(1985)과 《퍼시픽 하이츠》(1990)는 흥행에 성공했다. 영국에서는 《마담 소자츠카》(1988), 《콜드 컴포트 팜》(1995) 등이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다른 후기작으로는 앨런 베넷 각본 TV 연극 《해외의 영국인》(1983), 《귀속의 문제》(1991), 《인노센트》(1993), 《넥스트 베스트 씽》(2000)이 있다.

슐레진저는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의 《아테네의 티몬》(1965), 런던 피카딜리 극장 뮤지컬 《나와 앨버트》(1972)를 연출했다. 1973년부터 로열 내셔널 시어터 부감독으로 조지 버나드 쇼의 《하트브레이크 하우스》(1975)를 제작했다. 《호프만의 이야기》(1980), 《장미의 기사》(1984) 등 여러 오페라를 연출했으며, 두 작품 모두 코벤트 가든에서 공연되었다.[23]

1992년 영국 총선에서 보수당 정당 정치 방송을 연출, 존 메이저 총리가 런던 남부 브릭스턴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담아 메이저의 평범한 배경을 강조했다. 슐레진저는 영국 세 주요 정당 모두에 한 번 이상 투표했다고 밝혔다.

2. 3. 성 지향성

섹션 제목과 요약, 그리고 주어진 원본 소스에 존 슐레진저의 성 지향성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내용을 출력합니다.

2. 4. 말년

슐레진저는 1998년 심장 동맥 우회술 4중 수술을 받았고, 2001년 새해 첫날 뇌졸중을 겪어 건강이 크게 악화되었다.[29] 2003년 7월 25일 오전, 팜스프링스에 있는 데저트 지역 의료 센터에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0][2]

30년 이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해 온 사진작가 마이클 차일더스가 임종을 지켰다. 2003년 9월 30일에 추도식이 열렸다.[31] 그는 화장되었으며, 유해 대부분은 부모 곁에 안치되었고 나머지는 차일더스와 함께 안치될 예정이다.[30]

3. 작품 목록

다음은 존 슐레진저 감독의 작품 목록이다.

연도제목비고
1962애정의 종류
1963빌리 라이어
1965달링
1967고독한 영혼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
1971선데이 블러디 선데이
1973비전스 오브 에이트다큐멘터리 단편 가장 긴 것
1975메뚜기의 날
1976마라톤 맨
1979양키스
1981혼키 통크 프리웨이
1983세퍼레이트 테이블즈TV 영화
1983해외로 간 영국인TV 영화
1985팔콘과 스노우맨
1987신앙
1988마담 수자츠카
1990퍼시픽 하이츠
1991크레인의 외침텔레비전 영화, 출연만
1993순수한 사람들
1995냉정한 위안의 농장TV 영화
1995셀룰로이드 클로짓출연만
1996눈에는 눈
1997스위니 토드의 이야기TV 영화[32][33]
2000넥스트 베스트 씽



연도제목비고
1956공원의 일요일다큐멘터리 단편
1961터미너스다큐멘터리 단편
1967이스라엘: 살 권리다큐멘터리 영화


3. 1. 장편 영화

연도제목감독각본제작
1962애정의 종류
1963빌리 라이어
1965달링
1967고독한 영혼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
1971선데이 블러디 선데이
1975메뚜기의 날
1976마라톤 맨
1979양키스
1981혼키 통크 프리웨이
1985팔콘과 스노우맨
1987신앙
1988마담 수자츠카
1990퍼시픽 하이츠
1993순수한 사람들
1996눈에는 눈
2000넥스트 베스트 씽


3. 2. 단편 영화 및 다큐멘터리

슐레진저는 1956년 런던의 하이드 파크를 다룬 단편 다큐멘터리 《공원의 일요일》로 연출 경력을 시작했다. 1958년에는 BBC의 《모니터》 TV 프로그램에서 젊은 마이클 크로포드가 출연한 어린이 오페라 《노예의 홍수》의 리허설을 포함하여 벤자민 브리튼과 앨데버러 페스티벌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16][17]

1960년대에 그는 연출 경력에 집중하기 위해 배우 활동을 사실상 중단했으며, 그의 초기 연출 작품 중 하나인 영국 교통 영화의 다큐멘터리 《터미너스》(1961)는 베네치아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영국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다큐멘터리 영화'''

  • ''이스라엘: 살 권리'' (1967)


'''다큐멘터리 단편'''

연도제목감독각본제작비고
1956공원의 일요일촬영 감독 겸임
1961터미너스승객으로 출연(크레딧 없음)
1973가장 긴 것비전스 오브 에이트의 한 부분



연도제목비고
1960–1963더 밸리언트 이어스
1958–1961모니터4개 에피소드
1967더 웬즈데이 플레이에피소드 "나무 안의 날들" (원작 로열 셰익스피어 극단 무대 연출)
1991스크린 원에피소드 "어트리뷰션의 문제"



'''TV 영화'''


  • ''세퍼레이트 테이블즈'' (1983)
  • ''해외로 간 영국인'' (1983)
  • ''냉정한 위안의 농장'' (1995)
  • ''스위니 토드의 이야기'' (1997)[32][33]

3. 3. 텔레비전 영화

슐레진저는 1950년대에 《분열된 마음》, 《오, 로잘린다!!》와 같은 영국 영화와 《BBC 선데이 나이트 극장》, 《로빈 후드의 모험》, ''The Vise''와 같은 영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조연을 맡았다.[16][17] 1959년에는 TV 시리즈 《4명의 정의로운 사람들》의 23개 에피소드와 《데인저 맨》 시리즈의 4개 에피소드에서 외부 또는 세컨드 유닛 감독으로 이름을 올렸다.[18]

이후 텔레비전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며 제작한 텔레비전 영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비고
1983세퍼레이트 테이블즈
1983해외로 간 영국인
1991스크린 원에피소드 "어트리뷰션의 문제"
1995냉정한 위안의 농장
1997스위니 토드의 이야기[32][33]


4. 수상 및 서훈

존 슐레진저는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후보에 두 번 올랐으며, 영국 감독 조합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 1970년 영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CBE)으로 임명되었다.[34] 1981년 함부르크에 본부를 둔 알프레드 퇼퍼 재단에서 그의 평생 업적을 기려 연례 셰익스피어 상을 수여했다. 2002년 BAFTA 펠로우가 되었다.

슐레진저의 주요 수상 및 서훈 내역
연도종류작품부문결과
1961BAFTA상터미너스최우수 단편 영화상수상
1965아카데미상달링감독상후보
BAFTA상달링최우수 영국 영화상수상
골든 글로브상달링감독상수상
1969아카데미상미드나잇 카우보이감독상수상
BAFTA상미드나잇 카우보이감독상수상
1971아카데미상선데이 블러디 선데이감독상후보
BAFTA상선데이 블러디 선데이감독상수상
1976골든 글로브상마라톤 맨감독상수상
1979BAFTA상얀크스감독상수상
1983BAFTA상An Englishman Abroad최우수 단편 드라마수상
1991A Question of Attribution수상
1996BAFTA상BAFTA 펠로우수상



슐레진저 영화의 수상 및 후보 내역
연도작품아카데미상BAFTA상골든 글로브상
후보수상후보수상후보수상
1962어떤 사랑4
1963빌리 라이어6
1965달링536431
1967광란의 무리로부터 멀리123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737671
1971선데이 블러디 선데이48521
1975귀뚜라미의 날2312
1976마라톤 맨1251
1979얀크스722
1988마담 소자츠카121
합계2064618265


4. 1. 기타 수상

존 슐레진저는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 후보에 두 번 올랐으며, 영국 감독 조합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 1970년에는 영화에 기여한 공로로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CBE)으로 임명되었다. 1981년, 함부르크에 본부를 둔 알프레드 퇼퍼 재단은 그의 평생 업적을 기려 연례 셰익스피어 상을 수여했다. 2002년에는 BAFTA 펠로우가 되었다.

'''아카데미상'''

연도작품부문결과
1965달링감독상후보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수상
1971선데이 블러디 선데이후보



'''BAFTA상'''

연도작품부문결과
1961터미너스최우수 단편 영화상수상
1965달링최우수 영국 영화상수상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감독상수상
1971선데이 블러디 선데이수상
1979얀크스수상
1983An Englishman Abroad최우수 단편 드라마수상
1991A Question of Attribution수상
1996BAFTA 펠로우수상



'''골든 글로브상'''

연도작품부문결과
1965달링감독상수상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수상
1976마라톤 맨수상



슐레진저 영화의 수상 및 후보 내역
연도작품아카데미상BAFTA상골든 글로브상
후보수상후보수상후보수상
1962어떤 사랑4
1963빌리 라이어6
1965달링536431
1967광란의 무리로부터 멀리123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737671
1971선데이 블러디 선데이48521
1975귀뚜라미의 날2312
1976마라톤 맨1251
1979얀크스722
1988마담 소자츠카121
합계2064618265


4. 2. 서훈

1970년 영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CBE)으로 임명되었다.[34]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후보에 두 번 올랐으며, 영국 감독 조합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 1981년 함부르크에 본부를 둔 알프레드 퇼퍼 재단에서 그의 평생 업적을 기려 연례 셰익스피어 상을 수여했다. 2002년 BAFTA 펠로우가 되었다.

'''아카데미상'''

연도작품부문결과
1965달링감독상후보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수상
1971선데이 블러디 선데이후보



'''BAFTA상'''

연도작품부문결과
1961터미너스최우수 단편 영화상수상
1965달링최우수 영국 영화상수상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감독상수상
1971선데이 블러디 선데이수상
1979얀크스수상
1983An Englishman Abroad최우수 단편 드라마수상
1991A Question of Attribution수상
1996BAFTA 펠로우수상



'''골든 글로브상'''

연도작품부문결과
1965달링감독상수상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수상
1976마라톤 맨수상



슐레진저 영화의 수상 및 후보 내역
연도작품아카데미상BAFTA상골든 글로브상
후보수상후보수상후보수상
1962어떤 사랑4
1963거짓말쟁이 빌리6
1965달링536431
1967광란의 무리에서 멀리123
1969미드나잇 카우보이737671
1971선데이 블러디 선데이48521
1975귀뚜라미의 날2312
1976마라톤 맨1251
1979얀크스722
1988마담 소자츠카121
합계2064618265


참조

[1] ODNB Schlesinger, John Richard (1926–2003)
[2] 뉴스 Filmmaker John Schlesinger Dies at 77 https://www.washingt[...] 2023-10-25
[3] 웹사이트 Where to begin with John Schlesinger https://www.bfi.org.[...] BFI 2023-10-25
[4] 웹사이트 British Film Institute – Top 100 British Films – cinemarealm.com https://www.cinemare[...] 2023-10-25
[5] 서적 2004
[6] 웹사이트 Obituary: John Schlesinger, filmmaker, 1926–2003 https://www.wsws.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Fourth International 2011-06-21
[7] 서적 Twayne Publishers 1981
[8] 웹사이트 Bernard Edward Schlesinger | RCP Museum https://history.rcpl[...]
[9] 서적 Their Promised Land Penguin 1917
[10] 서적 2004
[11] 서적 Current Biography Yearbook 1970 The H. W. Wilson Co. 1971
[12] 서적 2004
[13] 서적 2004
[14] 웹사이트 John Schlesinger https://www.britanni[...] 2020-02-22
[15] 웹사이트 Jocelyn Page – interview transcript https://sounds.bl.uk[...] British Library 2016-04-02
[16] Youtube Benjamin Britten on Camera https://www.bbc.co.u[...]
[17] 서적 Britten's Unquiet Pasts: Sound and Memory in Postwar Reconstr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8] 문서 End credits of episodes of both series.
[19] 웹사이트 Berlinale: Prize Winners https://www.berlinal[...]
[20] 웹사이트 Midnight Cowboy: On the Fringe https://www.criterio[...] 2018-05-29
[21] 뉴스 50 Years After Midnight Cowboy, Gay Cinema Is Still a Work in Progress https://lamag.com/fe[...] 2023-10-25
[22] 잡지 X-Rated: Inside the Myths and Legends of Midnight Cowboy https://www.vanityfa[...] 2023-10-25
[23] Grove John Schlesinger
[24] 뉴스 'Midnight Cowboy' and the very dark horse its makers rode in on https://www.latimes.[...] 2005-02-27
[25] London Gazette 1970-06-05
[26] 서적 The Best Guide Ever to Palm Springs Celebrity Homes Horatio Limburger Oglethorpe 2014
[27] 서적 2004
[28] 웹사이트 Palm Springs Walk of Stars by date dedicated https://web.archive.[...]
[29] 서적 2004
[30] 서적 2004
[31] 서적 Untold Stories
[32] 뉴스 Diversions and Excursions Oct. 9-20 https://www.wsj.com/[...] 1997-10-09
[33] 뉴스 Hamptons Film Festival Just Keeps On Growing (Published 1997) https://www.nytimes.[...] 1997-10-15
[34] 저널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70 Birthday Honours https://www.thegazet[...] 2016-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